반응형

토이 프로젝트로 혼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웹 개발부터 배포까지 온 과정을 경험해 보았습니다.

이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많은 피드백은 감사합니다!

 

목차 

STEP 01) NCP 서버 

STEP 02) AWS RDS, S3

STEP 03) Web Application 개발

STEP 04) Jenkins pipeline 배포

STEP 05) Domain 등록

 


이번에는 AWS Route53 서비스를 이용해서 도메인을 등록해보겠습니다.

 

가비아에서 구매 한 도메인을 AWS Route53에 등록해보겠습니다.

Route53에서도 도메인 구매가 가능합니다

 

1. 호스팅 영역 > 호스팅 영역 생성

 

 

2. 도메인 정보 입력

  - 도메인 이름 : 구매한 도메인

  - EC2 퍼블릭 IP

  - 퍼블릭 호스팅 영역 :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자 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레코드를 포함합니다.

 

3. NameServer 등록

  - NS : 네임서버 레코드로 도메인에 대한 네임서버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는 레코드

  - SOA : 도메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레코드

 

 

4. 가비아에 AWS 네임서버 등록

  - 호스팅업체의 네임서버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가비아에 등록된 네임서버

5. 도메인과 EC2 인스턴스 IP 연결

  - 레코드 생성 클릭

 

 

레코드 이름 : 라우팅할 이름을 설정합니다.

레코드 유형 : ec2로 라우팅할 경우 ipv4로 라우팅합니다.

값 : ec2 인스턴스 퍼블릭 IP

TTL : DNS에 ip 주소를 저장하는 시간

 

 

레코드를 생성하면 시간이 조금 지나서 등록한 도메인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Route53은 Free tier 사용하더라도 월별 호스팅 가격 및 쿼리(도메인을 통해서 AWS에 접속하는 횟수) 비용이 발생합니다.

  - Rout53 요금제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