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포하실 서비스가 Dockerfile에 준비되어 있다는 전제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순서

  1. ECR 레포 docker 이미지 push
  2. ECS 태스크 정의
  3. ECS 클러스터 생성
  4. 클러스터 서비스 생성

 

ECS 이란?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Amazon ECS)는 완전관리형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입니다. 기본적으로 Amazon Route 53, Secrets Manager,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Amazon CloudWatch 등의 다른 서비스와 통합을 통해 컨테이너 배포 및 확장을 위한 익숙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AWS 서비스와의 신속한 통합을 통해 ECS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ECS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서 Amazon EC2  AWS Fargate를 스팟 및 온디맨드 요금 옵션과 조합하여 유연하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ECR 이란?

AWS ECR (Amazon Elastic Container Registry)는 Amazon Web Services가 제공하는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개발자는 Docker 이미지를 안전하게 업로드, 저장, 관리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ECR은 AWS 클라우드의 다른 서비스와 통합되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빌드, 저장 및 배포 프로세스를 간소화합니다.

 

1. ECR 레포 docker 이미지 push

1. AWS ECR에 접속해서 원하는 레포 이름으로 레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2. 레포를 생성했다면 푸시 명령 보기를 클릭해서 배포하려는 프로젝트 파일에서 순차적으로 명령어를 실행시켜서 푸시를 진행합니다.(푸시 명령 1~4번 실행)

주의할 점, 배포하는 ECS가 Linux이기 때문에 Linux 환경에서 실행되는 docker 이미지를 push 해야 합니다.
추후에 ECS 서비스를 생성할 때 계속 서킷 브레이커가 발생한다면 docker 이미지를 먼저 의심해 보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 docker 이미지가 제 MAC에서는 잘 동작해서 ECR에 올렸는데 ECS는 Linux 계열이라서 계속적으로 ECS 서비스 생성에 문제가 발생해서 오랜 삽질을 했습니다,, 저 같은 분들이 없기를,,)

 

 

 

2. ECS 태스크 정의

  • 태스크 정의 패밀리 : 원하시는 이름 작성
  • 시작 유형 : AWS Fargate
  • OS, 아키텍처, 네트워크 모드 : Linux/X86_64
  • 태스크 크기 : 1 vCPU, 3GB
  • 태스크 역할 : ecsTaskExecutionRole
  • 태스크 실행 역할 : ecsTaskExecutionRole

 

컨테이너

  • 이미지 URI : ECR 이미지 URI (주의, ECR 레포 URI 아닙니다.  아래 이미지 참고)
  • 컨테이너 포트 : 컨테이너에서 사용하는 포트 작성
  • 환경변수 파일 추가 : S3에 환경 변수 파일 업로드해서 객체 ARN 값 작성(옵션)
  • 로깅을 선택하면 ecsTaskExecutionRole 값에 CloudWatchFullAccess 권한 추가 필요(옵션, 아래 이미지 참고)

나머지 설정은 기본 설정으로 진행

 

 

ECR 레포 안에 이미지 URI 복사
ecsTaskExecutionRole 권한에 CloudWatchFullAccess 권한 추가

3. ECS 클러스터 생성

  • 클러스터 이름 작성
  • AWS Fargate 선택

나머지 설정은 기본 설정값으로 진행

 

 

4. 클러스터 서비스 생성

환경
- 컴퓨팅 옵션 : 시작 유형

- 시작 유형 : FARGATE
배포 구성

- 애플리케이션 유형 : 서비스

- 패밀리 : 앞에서 정의한 태스크 선택
네트워킹
- 사용하는 VPC 있으면 선택

로드 벨런싱

- 로드 벨런서 연결

- 기존 대상 그룹을 연결할 때는 대상 유형을 “IP 주소 선택해서 생성한 대상 그룹 연결 가능(Fargate 연결하는 경우)

 

 

ECS 서비스 상태가 활성이면 배포 성공!

 

서비스에 들어가면 상태 및 지표와 연결된 로드 벨런서 확인이 가능하고

테스크에 들어가면 태스크 구성(IP등)과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3 객체 대량 삭제 시 복구 방법  (2) 2023.11.03
AWS를 이용한 SSL 적용하기  (0) 2023.01.08
반응형

 

핵심 정리

24장 클로저

클로저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개념이 아닙니다. 함수를 일급 객체로 취급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클러저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개념이 아니므로 클로저의 정의가 ECMAScript 사양에 등장하지 않습니다.

MDN에서는 클로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1. 렉시컬 스코프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합니다. 

이를 렉시컬 스코프(정적 스코프)라 합니다.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에 저장할 참조값, 즉 상위 스코프에 대한 참조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함수가 정의된 환경(위치)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것이 바로 렉시컬 스코프입니다.

 

2. 함수 객체의 내부 슬롯[[Environment]]

렉시컬 스코프가 가능하려면 함수는 자신이 호출되는 환경과는 상관없이 자신이 정의된 환경, 즉 상위 스코프를 기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함수는 자신의 내부 슬롯[[Environmnet]]에 자신이 정의된 환경, 즉 상위 스코프의 참조를 저장합니다.

 

3. 클로저와 렉시컬 환경

const x = 1;

function outer() {
 const x = 10;
 const inner = function() { console.log(x); };
 return inner;
}

// outer 함수를 호출하면 중첩 함수 inner를 반환한다.
// 그리고 outer 함수의 실행 컨텍스트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서 팝되어 제거된다.
const innerFunc = outer();
innerFunc(); // 10

실행 결과는 outer 함수의 지역 변수 x의 값인 10입니다. 이미 생명 주기가 종료되어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서 제거된 outer 함수의 지역 변수 x가 다시 부활이라도 한 듯이 동작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외부 함수보다 중첩 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 중첩 함수는 이미 생명 주기가 종료한 외부 함수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첩 함수를 클로저라고 부릅니다.

 

하나씩 코드를 살펴보면

outer 함수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를 생성할 때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 즉 렉시컬 환경을 outer 함수 객체의 [[Environment]] 내부 슬롯에 상위 스코프로서 저장합니다.

outer 함수를 호출하면 outer 함수의 렉시컬 환경이 생성되고 앞서 outer 함수 객체의 [[Environment]] 내부 슬롯에 저장된 전역 렉시컬 환경을 outer 함수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에 할당 합니다. 그리고 중첩 함수 inner가 평가됩니다.

이때 중첩 함수 inner는 자신의 [[Environment]] 내부 슬롯에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 즉 outer 함수의 렉시컬 환경을 상위 스프로서 저장합니다.

중첩 함수 inner는 외부 함수 outer보다 더 오래 생존했습니다. 이때 외부 함수보다 더 오래 생존한 중첩 함수는 외부 함수의 생존 여부와 상관없이 자신이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기억합니다. 이처럼 중첩 함수 inner의 내부에서는 상위 스코프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고 식별자의 값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함수는 상위 스코프를 기억하므로 이론적으로 모든 함수는 클로저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함수를 클로저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상위 스코프의 어떤 식별자도 참조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모던 브라우저는 최적화를 통해 상위 스코프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클로저에 의해 참조되는 상위 스코프의 변수를 자유 변수(free variable)라고 부릅니다.

 

4. 클로저의 활용

클로저는 상태(state)를 안전하게 변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상태를 안전하게 은닉하고 특정 함수에게만 상태 변경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카운트 상태 변경 함수
const increase = (function (){
 // 카운트 상태 변수
 let num = 0;
 
 // 클로저
 return function() {
  return ++num;
 };
}());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2
console.log(increase()); // 3

 

위 코드가 실행되면 즉시 실행 함수가 호출되고 즉시 실행 함수가 반환한 함수가 increase 변수에 할당됩니다. increase 변수에 할당된 함수는 자신이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된 상위 스코프인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을 기억하는 클로저입니다.

즉시 실행 함수는 호출된 이후 소멸되지만 즉시 실행 함수가 반환한 클로저는 increase 변수에 할당되어 호출됩니다. 이때 즉시 실행 함수가 반환한 클로저는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된 상위 스코프인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으 기억하고 따라서 즉시 실행 함수가 반환한 클로저는 카운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유 변수 num을 언제 어디서 호출하든지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클로저는 상태가 의도치 않게 변경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은닉하고 특정 함수에게만 상태 변경을 허용하여 상태를 안전하게 변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23장 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는 자바스크립트의 동작 원리를 담고 있는 핵심 개념입니다.

 

1. 소스코드 타입

ECMAScript 사양은 소스코드를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합니다. 4가지 타입의 소스코드는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합니다.

전역코드 : 전역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합니다. 전역에 정의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함수 코드 : 함수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합니다. 함수 내부에 중첩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eval 코드 : 빌트인 전역 함수인 eval 함수에 인수로 전달되어 실행되는 소스코드를 말합니다.

모듈 코드 : 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합니다. 모듈 내부의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스코드를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소스코드의 타입에 따라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관리 내용이 다릅니다.

 

2. 소스코드의 평가와 실행

모든 소스코드는 실행에 앞서 평가 과정을 거치며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합니다.

다시 말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소스코드를 2개의 과정, 즉 "소스코드의 평가"와 "소스코드의 실행" 과정으로 나누어 처리합니다.

소스코드 평가 과정에서는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변수, 함수 등의 선언문만 먼저 실행하여 생성된 변수나 함수 식별자를 키로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에 등록합니다.

소스코드 평가 과정이 끝나면 비로소 선언문을 제외한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즉, 런타임이 시작됩니다. 이때 소스코드 실행에 필요한 정보, 즉 변수나 함수의 참조를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에서 검색해서 취득합니다. 그리고 변수 값의 변경 등 소스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시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에 등록합니다.

 

3. 실행 컨텍스트의 역할

3.1 전역 코드 평가

전역 코드의 변수 선언문과 함수 선언문이 먼저 실행되고, 그 결과 생성된 전역 변수전역 함수가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전역 스코프에 등록됩니다. 이때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와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전역 함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됩니다.

 

3.2 전역 코드 실행

평가가 끝나면 런타임이 시작되어 전역 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전역 변수에 값이 할당되고 함수가 호출됩니다. 함수가 호출되면 실행되던 코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코드 실행 순서를 변경하여 함수 내부로 진입합니다.

 

3.3 함수 코드 평가

함수 코드 평가 과정을 거치며 함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합니다. 생성된 매개변수지역 변수가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지역 스코프에 등록됩니다. arguments 객체가 생성되어 지역 스코프에 등록되고 this 바인딩도 결정됩니다.

 

3.4 함수 코드 실행

평가 과정이 끝나면 런타임이 시작되어 함수 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매개변수지역 변수값이 할당되고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이처럼 코드가 실행되려면 스코프를 구분하여 식별자와 바인딩된 값이 관리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중첩 관계에 의해 스코프 체인을 형성하여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하고,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도 전역 변수처럼 검색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함수 호출이 종료되면 함수 호출 이전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코드와 이전에 실행하던 코드를 구분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이처럼 코드가 실행되려면 다음과 같이 스코프, 식별자, 코드 실행 순서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 모든 것을 관리하는 것이 바로 실행 컨텍스트입니다. 실행 컨텍스트는 소스코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를 관리하는 영역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실행 컨텍스트는 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스코프와 코드 실행 순서 관리를 구현한 내부 매커니즘으로, 모든 코드는 실행 컨텍스트를 통해 실행되고 관리됩니다.

식별자와 스코프는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으로 관리하고 코드 실행 순서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으로 관리합니다.

 

4. 실행 컨텍스트 스택

실행 컨텍스트 스택은 코드의 실행 순서를 관리합니다. 소스코드가 평가되면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되고 실행 컨텍스트 스택의 최상위에 쌓입니다. 실행 컨텍스트 스택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실행 컨텍스트는 언제나 현재 실행 중인 코드의 실행 컨텍스트입니다. 따라서 실행 컨텍스트 스택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실행 컨텍스트를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라 부릅니다.

 

5. 렉시컬 환경

실행 컨텍스트 스택이 코드의 실행 순서를 관리한다면 렉시컬 환경은 스코프와 식별자를 관리합니다.

렉시컬 환경은 키와 값을 갖는 객체 형태의 스코프(전역, 함수, 블록 스코프)를 생성하여 식별자를 키로 등록하고 식별자에 바인딩된 값을 관리합니다. 즉, 렉시컬 환경은 스코프를 구분하여 식별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저장소 역할을 하는 렉시컬 스코프의 실체입니다.

 

6. 실행 컨텍스트의 생성과 식별자 검색 과정

6.1 전역 객체 생성

전역 객체는 전역 코드가 평가되기 이전에 생성됩니다. 이때 전역 객체에는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와 빌트인 전역 함수, 그리고 표준 빌트인 객체가 추가되며 동작 환경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드 Web API 또는 특정 호나경을 위한 호스트 객체를 포함합니다.

 

6.2 전역 코드 평가

1. 전역 실행 컨텍스트 생성

2. 전역 렉시컬 환경 생성

 2.1 전역 환경 레코드 생성 : 전역 환경 레코드는 기존의 전역 객체가 관리하던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전역 함수,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와 빌트인 전역 함수, 표준 빌트인 객체를 관리하고, 선언적 환경 레코드는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지역 변수를 관리한다. 

  2.1.1 객체 환경 레코드 생성 : 전역 코드 평가 과정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전역 함수는 전역 환경 레코드의 객체 환경 레코드에 연결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됩니다.

  2.1.2 선언적 환경 레코드 생성 :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합니다. 따라서 초기화 초기화 단계, 즉 런타임에 실행 흐름이 변수 선언문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시적 사각지대(TDZ)에 빠지게 됩니다.

 2.2 this 바인딩 : [[GlobalThisValue]] 내부 슬록에 this가 바인딩 됩니다.

 2.3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 상위 스코프를 가리킵니다. 이를 통해 단방향 링크드 리스트인 스코프 체인을 구현합니다.

 

6.3 전역 코드 실행

어느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하면 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식별자 결정이라 합니다.

식별자 결정을 위해 식별자를 검색할 때는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에서 식별자를 검색하기 시작합니다.

 

6.4 함수 코드 평가

함수가 호출되면 전역 코드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함수 내부로 코드의 제어권을 이동합니다. 그리고 함수 코드르 평가하기 시작합니다.

1. 함수 실행 컨텍스트 생성

2. 함수 렉시컬 환경 생성

 2.1 함수 환경 레코드 생성 : 매개변수, arguments 객체, 함수 내부에서 선언한 지역 변수와 중첩 함수를 등록하고 관리합니다.

 2.2 this 바인딩 : [[ThisValue]] 내부 슬록에 this가 바인딩 됩니다.

 2.3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고 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정의를 평가하여 함수 객체를 생성할 때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서컬 환경, 즉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함수 객체의 내부 슬록 [[Environment]]에 저장합니다. 함수 객체의 내부 슬롯 [[Environment]]가 바로 렉시컬 스코프를 구현하는 매커니즘입니다.

 

6.5 함수 코드 실행

식별자 결정을 위해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에서 식별자를 검색하기 시작합니다.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느느 함수 실행 컨텍스트이므로 함수 렉시컬 환경에서 식별자를 검색하기 시작합니다.

 

6.6 함수 코드 종료

6.7 전역 코드 실행 종료

7. 실행 컨텍스트와 블록 레벨 스코프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따릅니다.

하지만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모든 코드 블록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릅니다.

let x = 1;

if(true) {
 let x = 10;
 console.log(x); // 10
}

console.log(x); // 1

if 문의 코드 블록 내에서 let 키워드로 변수가 선언되었습니다. 따라서 if 문의 코드 블록이 실행되면 if 문의 코드 블록을 위한 블록 레벨 스코프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선언적 환경 레코드를 갖는 렉시컬 환경을 새롭게 생성하여 기존의 전역 렉시컬 환경을 교체합니다.

이때 새롭게 생성된 if 문의 코드 블록을 위한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는 if 문이 실행되기 이전의 전역 렉시컬 환경을 가리킵니다. 이는 if 문뿐 아니라 블록 레벨 스코프를 생성하는 모든 블록문에 적용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22장 this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는 자신이 속한 객체의 상태, 즉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메서드가 자신이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하려면 먼저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특수한 시별자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자바스크립트는 this라는 특수한 식별자를 제공합니다.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입니다.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this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되며, 코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습니다. 단, this가 가리키는 값, 즉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됩니다.

 

this 바인딩

바인딩이란 식별자와 값을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변수 선언은 변수 이름과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바인딩하는 것입니다. this 바인딩은 this(키워드로 분류되지만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와 this가 가리킬 객체를 바인딩하는 것입니다.

 

1. 함수 호출 방식과 this 바인딩

this 바인딩(this에 바인딩될 값)은 함수 호출 방식, 즉 함수가 어떻게 호출되었는지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됩니다.

 

1.1) 일반 함수 호출

function foo() {
 console.log("foo`s this: ", this); // window
 function bar() {
  console.log("bar`s this: ", this); // window
 }
 bar();
}
foo();

 

일반 함수로 호출하면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됩니다. 다만 this는 객체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하기 위한 자기 참조 변수이므로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 일반 함수에서 this는 의미가 없습니다.

 

메서드 내에서 정의한 일반 중첩 함수도 일반 함수로 호출되면 중첩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됩니다.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console.log("foo`s this:", this); // {value: 100, foo: f}
    console.log("foo`s this.value", this.value); // 100
    
    function bar() {
     console.log("foo`s this:", this); // {value: 100, foo: f}
     console.log("foo`s this.value", this.value); // 100
    }
    
    bar();
 }
};

obj.foo();

 

콜백함수도 마찬가지로 일반 함수로 호출된다면 콜백 함수 내부의 this에도 전역 객체가 바인딩됩니다. 어떠한 함수라도 일반 함수로 호출되면 this에 전역 객체가 바인딩됩니다.

하지만 메서드 내에서 정의한 중첩 함수 또는 메서드에게 전달한 콜백 함수(보조 함수)가 일반 함수로 호출될 때 메서드 내의 중첩 함수 또는 콜백 함수의 this가 전역 객체를 바인딩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메서드 내부의 중첩 함수나 콜백 함수의 this 바인딩을 메서드의 this 바인딩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 this 바인딩(obj)을 변수 that에 할당한다.
  const that = this;
  
  setTimeout(function () {
   console.log(that.value); // 100
  }, 100);
 }
};

obj.foo();

 

1.2)  메서드 호출

메서드 내부의 this에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즉 메서드를 호출할 때 메서드 이름 앞의 마침표(.) 연산자 앞에 기술한 객체가 바인딩됩니다. 주의할 것은 메서드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소유한 객체가 아닌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된다는 것입니다.

const person = {
 name : 'Lee',
 getName() {
  return this.name;
 }
};

console.log(person.getName()); // Lee

위 예제의 getName 메서드는 person 객체의 메서드로 정의되었습니다. 메서드는 프로퍼티에 바인딩된 함수입니다.

즉, person 객체의 getName 프로퍼티가 가리키는 함수 객체는 person 객체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별도의 객체입니다.

const anotherPerson = {
 name: 'Kim'
};

anotherPerson.getName = person.getName;

console.log(anotherPerson.getName()); // Kim

const getName = person.getName;

console.log(get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내부에서 사용된 this도 일반 메서드와 마찬가지로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됩니다.

 

1.3) 생성자 함수 호출

생성자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생성자 함수가 (미래에) 생성할 인스턴스가 바인딩됩니다.

function Circle(radius) {
 this.radius = radius;
 this.getDiameter = function() {
  return 2 * this.radius;
 };
}

const circle1 = new Circle(5);

const circle2 = new Circle(10);

console.log(circle1.getDiameter()); //10
console.log(circle2.getDiameter()); //20

 

1.4)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 메서드에 의한 간접 호출

apply, call, bind 메서드는 Function.prototype의 메서드입니다. 즉, 이들 메서드는 모든 함수가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getThisBinding() {
 return this;
}

const thisArg = { a:1};

console.log(getThisBinding()); // window

console.log(getThisBinding.apply(thisArg));// {a:1}
console.log(getThisBinding.call(thisArg)); // {a:1}

apply와 call 메서드의 본질적인 기능은 함수를 호출하는 것입니다. apply와 call 메서드는 함수를 호출하면서 첫 번째 인수로 전달한 특정 객체를 호출할 함수의 this에 바인딩합니다.

function getThisBinding() {
 return this;
}

const thisArg = { a:1};

console.log(getThisBinding.bind(thisArg)); // getThisBinding

console.log(getThisBinding.bind(thisArg)()); // {a:1}

bind 메서드는 apply와 call 메서드와 달리 함수를 호출하지 않습니다. 다만 첫 번째 인수로 전달한 값으로 this 바인딩이 교체된 함수를 새롭게 생성해 반환합니다.

bind 메서드는 메서드의 this와 메서드 내부의 중첩 함수 또는 콜백 함수의 this가 불일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const person = {
 name: 'Lee',
 foo(callback) {
  setTimeout(callback.bind(this), 100);
 }
};

person.foo(function()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Hi! my name is Lee.
});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19장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는 명령형, 함수형,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멀티 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간혹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지향 언어가 아니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효율적이며 더 강력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능력을 지니고 있는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1. 상속과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상속을 구현하여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합니다. 중복을 제거하는 방법은 기존의 코드를 적극적으로 재사용하는 것입니다. 코드 재사용은 개발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 생성자 함수
fucntion Circle(radius) {
 this.radius = radius;
 this.getArea = function() {
  return Math.PI * this.radius ** 2;
 };
}

const circle1 = new Circle(1);
const circle2 = new Circle(2);

console.log(circle1.getArea === circle2.getArea); // false

console.log(circle1.getArea); // 3.141592
console.log(circle1.getArea); // 12.56637

 

이처럼 동일한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모든 인스턴스가 동일한 메서드를 중복 소유하는 것은 메모리를 불필요하게 낭비합니다.

또한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마다 메서드를 생성하므로 퍼포먼스에도 악영향을 줍니다. 상속을 통해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해 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상속을 구현합니다.

 

// 생성자 함수
fucntion Circle(radius) {
 this.radius = radius;
}

Cirecle.prototype.getArea = function(0 {
 return Math.PI * this.radius ** 2;
};

const circle1 = new Circle(1);
const circle2 = new Circle(2);

console.log(circle1.getArea === circle2.getArea); // true

console.log(circle1.getArea); // 3.141592
console.log(circle1.getArea); // 12.56637

Circle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모든 인스턴스는 자신의 프로토타입, 즉 상위(부모) 객체 역할을 하는 Circle.prototype의 모든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상속받습니다.

 

2. 프로토타입 객체

프로토타입 객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근간을 이루는 객체 간 상속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모든 객체는 [[Prototype]]이라는 내부 슬롯을 가지며, 이 내부 슬롯의 값은 프로토타입의 참조(null인 경우도 있습니다.)입니다.

[[Prototype]]에 저장되는 프로토타입은 객체 생성 방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객체가 생성될 때 객체 생성 방식에 따라 프로토타입이 결정되고 [[Prototype]]에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객체 리터럴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은 Object.prototype이고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에 바인딩되어 있는 객체입니다. 모든 객체는 하나의 프로토타입을 갖습니다. 그리고 모든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2.1)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

모든 객체는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자신의 프로토타입, 즉 [[Prototype]] 내부 슬롯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내부 슬롯은 프로퍼티가 아닙니다. 따라서 자바스립트는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거나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간접적으로 [[Prototype]] 내부 슬롯의 값, 즉 프로토타입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코드 내에서 직접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객체가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잇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 대신 프로토타입의 참조를 취득하고 싶은 경우에는 Object.getPrototypeOf 메서드를 사용하고, 프로토타입을 교체하고 싶은 경우에는 Object.setPrototypeOf 메서드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2.2) 함수 객체의 prototype 프로퍼티

함수 객체만이 소유하는 prototype 프로퍼티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을 가리킵니다.

// 함수 객체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한다.
(function () {}).hasOwnProperty('portotype'); // true
// 일반 객체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hasOwnProperty('prototype'); // flase

prototype 프로퍼티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객체(인스턴스)의 포로토타입을 가리킨다. 따라서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없는 함수, 즉 non-constructor인 화살표 함수와 ES6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한 메서드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으며 프로토타입도 생성하지 않습니다.

 

2.3)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모든 프로토타입은 constructor 프로퍼티를 갖습니다. 이 constructor 프로퍼티는 prototype 프로퍼티로 자신을 참조하고 있는 생성자 함수를 가리킵니다. 이 연결은 생성자 함수가 생성될 때, 즉 함수 객체가 생성될 때 이뤄집니다.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Aze');
// me 객체의 생성자 함수는 Person이다.
console.log(Pserson === me.constructor); // true

 

3. 리터럴 표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생성자 함수의 프로토타입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인스턴스는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에 의해 생성자 함수와 연결됩니.

const obj = new Object();
console.log(obj.constructor === Object); // true

const add = new Function('a', 'b', 'return a + b');
console.log(add.constructor === Functon); // true

하지만 리터럴 표기법에 의한 객체 생성 방식과 같이 명시적으로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는 객체 생성 방식도 있습니다.

// 객체 리터럴
const obj = {};

// 함수 리터럴
const add = function(a, b){return a + b;};

// 배열 리터럴
const arr = [1, 2, 3];

 

리터럴 표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도 물론 프로토타입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리터럴 표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경우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가 가리키는 생성자 함수가 반드시 객체를 생성한 생성자 함수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리터럴 표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는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는 아닙니다. 하지만 큰 틀에서 생각해 보면 리터럴 표기법으로 생성한 객체도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 객체와 본질적인 면에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따라서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생성자 함수를 리터럴 표기법으로 생성한 객체를 생성한 생성자 함수로 생각해도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4. 프로토타입의 생성 시점

객체는 리터럴 표기법 또는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되므로 결국 모든 객체는 생성자 함수와 연결되 었습니다.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가 생성되는 시점에 더불어 생성됩니다. 프로토타입과 생성자 함수는 단독으로존재할 수 없고 언제나 쌍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4.1) 사용자 정의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 생성 시점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는 함수, 즉 constructor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도 더불어 생성됩니다.

// 함수 정의(constructor)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도 더불어 생성된다.
console.log(Person.prototype); // {constructor: f}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Person 생성자 함수는 어떤 코드보다 먼저 평가되어 함수 객체가 됩니다. 이때 프로토타입도 더불어 생성됩니다.

생성된 프로토타입은 오직 constructor 프로퍼티만을 갖는 객체입니다. 프로토타입도 객체이고 모든 객체는 프로토타입을 가지므로 프로토타입도 자신의 프로토타입을 갖습니다.  생성된 프로토타입의 프로토타입은 Object.prototype입니다.

 

이처럼 빌트인 생성자 함수가 아닌 사용자 정의 생서자 함수는 자신이 평가되어 함수 객체로 생성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도 더불어 생성되며, 생성된 프로토타입은 언제나 Object.prototype입니다.

 

5.2) 빌트인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 생성 시점

Object, String, Number, Function, Array 등과 같은 빌트인 생성자 함수도 일반 함수와 마찬가지로 빌트인 생성자 함수가 생성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이 생성됩니다. 모든 빌트인 생성자 함수는 전역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 생성됩니다. 생성된 프로토타입은 빌트인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에 바인딩됩니다.

객체가 생성되기 이전에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은 이미 객체화되어 존재합니다. 이후 생성자 함수 또는 리터럴 표기법으로 객체를 생성하면 프로토타입은 생성된 객체의 [[Prototype]] 내부 슬롯에 할당됩니다. 

 

6. 프로토타입 체인

아래 예제를 보면

me 객체는 Object.prototype의 메서드인 hasOwnProperty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me 객체가 Person.prototype뿐만 아니라 Object.prototype도 상속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Person.prototype.sayHello = function()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const me = new Person('aze');

console.log(me.hasOwnProperty('aze')); // true

 

Person.prototype의 프로토타입은 Object.prototype입니다. 프로토타입의 프로토타입은 언제나 Object.prototype입니다.

Object.getPrototypeOf(me) === Person.prototype; // true

Object.getPrototypeOf(Person.prototype) === Object.prototype; // true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의 프로퍼티(메서드 포함)에 접근하려고 할 때 해당 객체에 접근하려는 프로퍼티가 없다면 [[Prototype]] 내부 슬롯의 참조를 따라 자신의 부모 역할을 하는 포로토타입의 프로퍼티를 순차적으로 검색합니다. 이를 프로토타입 체인이라고 합니다. 프로토타입 체인은 자바스크립트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상속을 구현하는 매커니즘입니다.

 

8. 오버라이딩과 프로퍼티 섀도잉

const Person = (function () {
 function Person(name) {
  // 생성자 함수
  this.name = 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ello = function()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생성자 함수를 반환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 인스턴스 메서드
me.sayHello = function() {
 console.log(`Hey! My name is ${this.name}`);
};

me.sayHello(); // Hey! My name is Lee

 

인스턴수가 소유한 프로퍼티르르 인스턴스 프로퍼티라고 부릅니다.

프로토타입 프로퍼티와 같은 이름의 프로퍼티를 인스턴스에 추가하면 프로토타입 체인을 따라 프로토타입 프로퍼티를 검색하여 프로토타입 프로퍼티를 덮었는 것이 아니라 인스턴스 프로퍼티로 추가합니다.

이때 인스턴스 메서드 sayHello는 프로토타입 메서드 sayHello를 오버라이딩했고 프로토타입 메서드 sayHello는 가려집니다.

 

9. 프로토타입의 교체

프로토타입은 임의의 다른 객체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부모 객체인 프로토타입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객체 간의 상속 관계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 또는 인스턴스에 의해 교체할 수 있습니다.

 

9.1) 생성자 함수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교체

const Person = (function () {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교체
 Person.prototype = {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한 객체 리터럴에는 constructor 프로퍼티가 없습니다. constructor 프로퍼티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프로토타입을 생성할 때 암묵적으로 추가한 프로퍼티입니다. 따라서 me 객체의 생성자 함수를 검색하면 Person이 아닌 Object가 나옵니다.

// 프로토타입을 교체하면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이 파괴됩니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false
// 프로토타입 체인을 따라 Object.prototype의 constructor 프로퍼티가 검색됩니다.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true

이처럼 프로토타입을 교체하면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이 파괴됩니다. 파괴된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을 되살려 보겠습니다.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한 객체 리터럴에 constructor 프로퍼티를 추가하여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를 되살립니다.

const Person = (function () {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교체
 Person.prototype = {
  constructor: Person,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 constructor 프로퍼티가 생성자 함수를 가리킵니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true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false

 

9.2 인스턴스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교체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할 객체
const parent = {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 me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parent 객체로 교체한다.
Object.setPrototypeOf(me, parent);
// 위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 me.__proto__ = parent;

me.sayHello(); // Hi! My name is Lee

생성자 함수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교체와 만찬가지로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한 객체에는 constructor 프로퍼티가 없으므로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이 파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로 me 객체의 생성자 함수를 검색하면 Person이 아닌 Object가 나옵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할 객체
const parent = {
 constructor : Person,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Person.prototype = parent;

// me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parent 객체로 교체한다.
Object.setPrototypeOf(me, parent);
// 위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 me.__proto__ = parent;

me.sayHello(); // Hi! My name is Lee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true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false

이처럼 프로토타입 교체를 통해 객체 간의 상속 괸계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꽤나 번거롭습니다. 따라서 프로토타입은 직접 교체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0. instanceof 연산자

instanceof 연산자는 이항 연상자로서 좌변에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 우변에 생성자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피연산자로 받습니다. 만약 우변의 피연산자가 함수가 아닌 경우 TypeError가 발생합니다.

객체 instanceof 생성자 함수

우변의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에 바인딩된 객체가 좌변의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면 true로 평가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flase로 평가됩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console.log(me instanceof Person); // true

console.log(me instanceof Object); // true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18장 함수와 일급 객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맍고하는 객체를 입급 객체라 합니다.

1. 무명의 리터럴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런타임에 생성이 가능하다.

2. 변수나 자료구조(객체, 배열 등)에 저장할 수 있다.

3. 함수의 매개변수에 전달할 수 있다.

4.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다음 예제와 같이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일급 객체입니다.

함수가 일급 객체라는 것은 함수를 객체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브라우저 콘솔에서 console.dir 메서드를 사용하여 함수 객체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함수 객체 내부에서 보이듯이 arguments, caller, length, name, prototype 프로퍼티는 모두 함수 객체의 데이터 프로퍼티입니다.

이들 프로퍼티는 일반 객체에는 없는 함수 객체 고유의프로퍼티입니다.

 

arguments 프로퍼티

arguments 객체는 배열 형태로 인자 정보를 담고 있지만 실제 배열이 아닌 유사 배열 객체입니다.

유사 배열 객체란 length 프로퍼티를 가진 객체로 for 문으로 순회할 수 잇는 객체를 말합니다.

유사 배열 객체는 배열이 아니므로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배열 메서드를 사용하려면 Function.prototype.call, Function.prototype.apply를 사용해 간접 호출해야 합니다.

 

ES6에서는 Rest 파라미터를 도입해서 번거로움을 해결하였습니다.

function sum(...args) {
    return args.reduce((pre, cur) => pre + cur,0);
}

console.log(sum(1,2)); // 3
console.log(sum(1,2,3,4,5)); // 15

 

caller 프로퍼티

ECMAScript 사양에 포함되지 않는 비표준 프로퍼티입니다. 이후 표준화될 예정도 없는 프로퍼티이므로 사용하지 말고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length 프로퍼티

함수 객체의 length 프로퍼티는 함수를 정의할 때 선언한 매개변수의 개수를 가리킵니다.

function foo() {}
console.log(foo.length); // 0

function bar(x) {}
console.log(bar.length); // 1

 

name 프로퍼티

함수 객체의 name 프로퍼티는 함수 이름을 나타냅니다. name 프로퍼티는 ES6 이전까지는 비표준이었다가 ES6에서 정식 표준이 되었습니다.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

모든 객체는 [[Prototype]]이라는 내부 슬록을 갖습니다. [[Prototype]] 내부 슬롯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상속을 구현하는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킵니다.

__proto__ 프로퍼티는 [[Prototype]] 내부 슬록이 가리키는 프로토타입 객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근자 프로퍼티입니다. 

내부 슬롯에는 직접 접근할 수 없고 간접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totype 프로퍼티

prototype 프로퍼티는 생성자 함수로 호출할 수 있는 함수 객체, 즉 constructor만이 소유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일반 객체와 생성자 함수로 호출할 수없는 non-constructor에는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15장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앞에 스코프 장에서 잠깐 이야기 했지만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1. 변수 중복 선언이 가능합니다.

2.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합니다.

3. 변수 호이스팅

 

앞에서 살펴본 var 키워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ES6에서는 새로운 변수 선언 키워드인 let과 const를 도입했습니다.

 

let 키워드

1. 변수 중복 선언 금지

2. 블록 레벨 스코프

let foo = 1;
{
    let foo =2;
    let bar =3;
}

console.log(foo); // 1
console.log(bar); // ReferenceError: bar is not defined

3. 변수 호이스팅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달리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합니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됩니다.

4. 전역 객체와 let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전역 함수, 그리고 선언하지 않은 변수에 값을 할당한 암묵적 전역은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됩니다.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window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var x = 1;
y = 2;

console.log(window.x); // 1
console.log(x);  // 1
console.log(window.y); // 2
console.log(y);  // 2

 

le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닙니다. 즉 window.x와 같이 접근할 수 없습니다.

let x = 1;
console.log(window.x); // undefined
console.log(x); // 1

 

const 키워드

1.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합니다.

const foo;
SyntaxError: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claration

 

2. 재할당 금지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됩니다.

3. 상수 :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변수의 상대 개념인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합니다.

4. const 키워드와 객체 :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 불가능한 값인 원시 값은 재할당 없이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 변경 가능한 값인 객체는 재할당 없이도 직접 변경이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14장 전역 변수의 문제점

전역 변수의 무분별한 사용은 위험합다. 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지역 변수의 생명주기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함수의 생면 주기와 일치합니다.

호이스팅은 스코프를 단위로 동작합니다.

 

전역 변수의 생명주기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합니다.

 

전역 변수의 문제점

암묵적 결합

전역 변수를 선언한 의도는 전역, 즉 코드 어디서든 참조하고 할당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합을 허용하는 것입니다.

 

긴 생명 주기

전역 변수는 생명 주기가 깁니다. 따라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기간 소비합니다. 또한 전역 변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시간도 길고 기회도 많습니다.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합니다. 이는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 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전역 변수의 검색 속도가 가능 느립니다.

 

네임스페이스 오염

자바스크립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파일이 분리되어 있다 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파일 내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전역 변수나 전역 함수가 같은 스코프 내에 존재할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

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변수의 스코프는 좁을수록 좋습니다.

 

1. 즉시 실행 함수

2. 네임스페이스 객체

3. 모듈 패턴

4. ES6 모듈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