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h2 Database Engine 다운로드

download에서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

h2 download url

- https://www.h2database.com/html/main.html

 

H2 Database Engine

H2 Database Engine Welcome to H2, the Java SQL database. The main features of H2 are: Very fast, open source, JDBC API Embedded and server modes; in-memory databases Browser based Console application Small footprint: around 2.5 MB jar file size     Supp

www.h2database.com

 

2.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후 yml 파일 작성

spring:
  # DB 연결
  datasource:
    # 설치된 H2 DB와 연결 URL
    url: jdbc:h2:file:./db/H2/data;AUTO_SERVER=true
    # 접속을 위한 드라이버
    driver-class-name: org.h2.Driver
    # springboot 2.4 부터는 username이 꼭 있어야합니다. 없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username: sa
    password:
  • jdbc:h2:file : file로 DB를 관리하겠다는 뜻
  • ./db/H2/data : 현재 설정된 경로에 data 라는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생성된다.  
  • AUTO_SERVER : 다중 접속을 허용하겠다는 의미

 

3. 프로젝트 실행

 

Menu Entity 생성

@Entity
public class Menu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menuName;

    private String menuType;



}

 

MenuType Entity 생성

@Entity
public class MenuType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ypeSeq;

    private String typeName;

}

 

yml 설정에 맞게 생성된 DB file 확인

 

 

4. h2 console 실행

터미널에서 1번에서 다운로드 받은 h2 파일 아래에 bin 파일로 이동 후 ./h2.sh 실행 (mac os 기준)

JDBC URL에 해당 프로젝트 경로에 h2 db 위치를 작성 후 AUTO_SERVE 설정을 넣어준다

ex) jdbc:h2:file:/Users/Desktop/DailySpecial/db/H2/data;AUTO_SERVER=true

 

 

5. 생성된 테이블  확인

 

 

** db file 경로 지정시 h2 console 같은 경우 사용자 디렉터리에서 부터 찾아야 한다.

사용자 디렉터리 경로 파일 접근 같은 경우

h2 console

ex) jdbc:h2:~/testdb

 

yml

ex)

url: jdbc:h2:tcp://localhost/~/testdb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