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핵심 정리

6장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을 살펴보기 전에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을 먼저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데이터 타입에 의한 메모리 공간의 확보참조

확보
값은 메모리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려면 먼저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몇 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을 사용해야 낭비와 손실 없이 값을 저장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참조

식별자 score를 통해 숫자 타입의 값 100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찾아갈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숫자 값 100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의 선두 메모리 셀의 주소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
이때 값을 참조하려면 한 번에 읽어 들여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 즉 메모리 셀의 개수를 알아야 한다. score 변수의 경우, 저장되어 있는 값이 숫자 타입으므로 8바이트 단위로 읽어 들이지 않으면 값이 훼손됩니다.

 

2. 데이터 타입에 의한 값의 해석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 0100 0001을 숫자로 해석하면 65지만 문자열로 해석하면 'A'입니다.
이와 같이 읽어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데이터 타입이 왜 필요한지 이해를 하였다면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를 말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합니다. 7개의 데이터 타입은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구분 데이터 타입
원시 타입 숫자 타입
무자열 타입
불리언 타입
undefined 타입
null 타입
심벌 타입
객체 타입 객체, 함수, 배열 등

 

6.1 숫자 타입

자바스크립트는 독특하게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합니다. ECMAScript 사양에 따르면 숫자 타입의 값은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릅니다. 즉,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하며, 정수만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숫자 타입은 추가적으로 세 가지 특별한 값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Infinity : 양의 무한대
  • -Infinity : 음의 무한대
  • NaN : 산술 연산 불가
console.log(10 / 0); // Infinity
console.log(10 / -0); // -Infinity
console.log(1 * 'String') // NaN

 

6.2 문자열 타입

문자열은 작음따옴표(''), 큰따옴표(""), 백틱(``)으로 텍스트를 감쌉니다.

 

6.3 탬플릿 리터널

ES6부터 탬플릿 리터널이라고 하는 새로운 문자열 표기법이 도입되었습니다.

탬플릿 리터널은 일반 문자열과 비슷해 보이지만 작음따옴표, 큰따옴표 같은 일반적인 따옴표 대신 백틱(``)을 사용해 표현합니다.

 

6.3.1 멀티라인 문자열

var template = `<ul>
    <li><a href="#">Home</a></li>
<ul>`;

console.log(template);

 

6.3.2 표현식 삽입

var first = 'azed';
var last = 'Kim';

console.log(`My name is ${first} ${last}.`);

 

6.4 불리언 타입

불리언 타입의 값은 논리적 참, 거짓을 나타내는 true와 false뿐입니다.

 

6.5 undefined 타입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암묵적으로 undefiend로 초기화된다. 따라서 변수를 서언한 이후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를 참조하면 undefined가 반환됩니다. 

이처럼 undefined는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값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변수를 초기화 할 때 사용하는 값입니다.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변수에 할당한다면 undefined의 본래 취지와 어긋날뿐더러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6.6 null 타입

null은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의도적 부재)할 때 사용합니다.

이전에 참조하던 값을 더 이상 참조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누구도 참조하지 않는 메모리 공간에 대해 가비지 콜렉션을 수행할 것입니다.

 

6.7 심벌 타입

심벌은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으로,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입니다. 심벌 값은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값입니다.

var key = Symbol('key');
console.log(typeof key);

var obj = {};

obj[key] = 'value';
console.log(obj[key]);

 

※ BigInt 타입

값은 숫자 뒤에 n 붙여서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12345678901234567890n BigInt 리터럴입니다.
2의53승의 값 이상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6.8 객체 타입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이루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라는 것입니다.
객체는 중요하기 때문에 다음 11장에서 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6.10 동적 타이핑

동적 타입 언어 vs 정적 타입 언어

특징 정적 타입 동적 타입
타입 검사 시점 컴파일 시 런타임 시
타입 유연성 낮음 (명시적인 타입 선언 필요) 높음 (타입이 실행 시 결정됨)
실행 전 오류 검출 높음 (컴파일 시 타입 오류 검출) 낮음 (런타임 시 타입 오류 발생 가능)
성능 일반적으로 빠름 (타입 정보를 이용한 최적화 가능) 일반적으로 느림 (타입 체크에 추가 비용)
예시 언어 Java, C++, Swift Python, JavaScript, Ruby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값을 할당하는 시점에 변수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되고 변수의 타입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자바스크립트의 변수는 선언이 아닌 할당에 의해 타입이 결정됩니다.

 

모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는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하며,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은 탄환"은 없듯이 동적 타입 언어 또한 구조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변화하는 변수 값을 추적하기 어려울 수 있고, 값의 변경에 의해 타입도 언제든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결국 동적 타입 언어는 우연성은 높지만 신뢰성은 떨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변수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변수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

1. 변수는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2. 변수의 유효 범위는 최대한 좁게 만들어 변수의 부작용을 억제해야 한다.

3. 전역 변수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다.

4. 변수보다 상수를 사용해 값의 변경을 억제한다.

5. 변수 이름은 변수의 목적이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네이밍한다.

새롭게 알게된 내용

- undefined, null 타입의 사용도

- symbol 타입

- 동적타입과 정적타입의 차이점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핵심 정리

5장 표현식과 문

 

5.1 값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JavaScript에서 값은 숫자, 문자열, 객체, 함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있습니다.

그리고 은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합니다.

var sum = 10 + 20;

여기서 30이 값입니다!

 

5.2 리터럴

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합니다.

리터럴은 값을 코드에 직접 표현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30은 숫자 리터럴, "안녕하세요" 문자열 리터럴, {name: "Alice"} 객체 리터럴, function() {} 함수 리터럴입니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합니다.

 

5.3 표현식(Expression)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되는 코드 조각이며 값을 생성하는 코드의 단위입니다.

, 실행될 하나의 값을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2 + 2, '안녕!', myFunction(), x > 10 모두 표현식입니다.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은 모두 표현식입니다.

 

5.4 문(Statement)

문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단위입니다.

프로그램의 동작을 정의하며, 보통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포함하고 실행을 제어하는 키워드와 구조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if , for 루프, function 선언 등이 문의 예시입니다.

이러한 문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지만, 직접적으로 값으로 평가되지는 않습니다.

문은 여러 토큰으로 구성됩니다. 토큰이란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며, 문법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 요소를 의미합니다.

var sum = 1 + 2;
var : 토큰
sum : 토큰
= : 토큰
1 : 토큰
+ : 토큰
2 : 토큰
; : 토큰

 

5.5 세미콜론과 세미콜론 자동 삽입 기능

세미콜론(;)은 문의 종료를 나타냅니다. 

if 문, for 문, 함수 등의 코드 블록 뒤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코드 블록은 언제나 문의 종료를 의미하는 자체 종결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세미클론은 생략 가능합니다. 엔진이 소스코드를 해석할 때 문의 끝이라고 예측되는 지점에 세미콜론을 자동으로 붙여주는 세미콜론 자동 사입 기능(ASI, autometic semicolon insertion)이 암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미클론 자동 삽입 기능이 개발자의 예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세미콜론을 반드시 붙여야 한다는 주장과 그의 반대 주장도 설득력이 있지만 TC39(ECMAScript 기술 위원회)도 세미콜론 사용을 권장하는 분위기입니다! 

 

5.6 표현식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

문에는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이 있다. 표현식인 문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이며, 표현식이 아닌 문은 값으로 평가될 수 없는 문을 말합니다.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을 구별하는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은 변수에 할당해 보는 것입니다.

 

var x; // 변순 선언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입니다.
var foo = var x; // 표현식이 아닌 문은 값처럼 사용할 수 없습니다.

 

var x;
x = 100;

// 표현식인 문은 값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var foo = x = 100;

 

 

새롭게 알게된 내용

- 토큰 용어

- 세미콜론 자동 사입 기능(ASI)

728x90
반응형
반응형


서문 

javascript를 기초부터 깊이 있게 공부하기 위해서 javascript deep dive 책을 샅샅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1~3장은 프로그래밍, 자바스크립트 역사와 개발 환경 세팅과 같은 내용이므로 건너뛰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정리

04장 변수

-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입니다.

-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서 붙인 이름을 말합니다.

-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입니다.

 

식별자

- 변수 이름을 식별자라고도 합니다.

- 식별자는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을 말합니다.

-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변수 선언

- 변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선언이 필요한데요, 선언할 때는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 javascript 특징으로 변수를 선언한 후 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undefined라는 값이 암묵적으로 할당되어 초기화됩니다.

- 변수 선언은 2단계를 거쳐서 수행됩니다.(1. 선언단계, 2. 초기화 단계)

- 변수 이름을 비롯한 모든 식별자는 실행 컨텍스트에 등록된다. 실행 컨텍스트(execution context)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소스코드를 평가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를 실제로 관리하는 영역입니다.

 

호이스팅

console.log(basic); // undefined

var basic;

 

위 출력 결과는 undefined가 출력됩니다. 한줄씩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참조 에러가 발생할 것처럼 보이지만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인 변수 호이스팅(variable hoisting) 때문에 변수 선언문이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합니다.

 

이와 같은 특징은 javascript 엔진이 소스코드를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하기에 앞서 먼저 소스코드의 평가 과정을 거치면서 소스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합니다. 이때 모든 선언문(변수, 함수등)을 소스코드에서 찾아서 먼저 실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평가 과정이 끝나면 비로소 변수 선언을 포함한 모든 선언문을 제외하고 소스코드를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합니다.

즉, javascript는 변수 선언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와 상관없이 어디서든지 변수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값의 할당

var basic;
basic = 1;

var basic = 1;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2개의 문으로 나누어 표현한 코드와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하나의 문으로 단축 표현한 코드는 정확히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즉,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하나의 문으로 단축 표현해도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2개의 문으로 나누어 각각 실행합니다.

 

식별자 네이밍 규칙

네이밍 컨벤션은 하나 이상의 영어 단어로 구성된 식별자를 만들 때 가독성 좋게 단어를 한눈에 구분하기 위해 규정한 명명 규칙이다.

javascript에서는 일반적으로 변수나 함수의 이름에는 카멜 케이스(ex. firstName)를 사용하고, 

생성자 함수, 클래스의 이름에는 파스칼 케이스(ex. FirstName)를 사용한다.

 

완벽 공략

가비지 콜렉터(garbage collector)

가비지 콜렉터는 애플리케이션이 할당한 메모리 공간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해제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가비지 콜렉션의 중요성

  • 메모리 누수 방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들을 정리함으로써,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유지합니다.
  • 자원 관리 최적화: 가비지 콜렉션을 통해 메모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메모리 공간을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 개발자의 편의성 증대: 자동 메모리 관리는 개발자가 메모리 할당 해제에 신경 쓰지 않도록 , 개발에 집중할 있게 합니다.

 

가비지 콜렉터의 진화 순서

  • 참조 카운팅(Reference Counting)

    - 초기의 가비지 콜렉션 방법 중 하나로, 객체에 대한 참조의 수를 추적합니다.

    - 참조 수가 0이 되면 객체는 메모리에서 해제됩니다.
    - 단점: 순환 참조(circular reference) 상황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마킹 앤드 스위핑(Mark-and-Sweep)

    - 루트 집합에서 시작하여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마킹"하고, 도달할 수 없는 객체를 메모리에서 해제합니다.
    -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고, 더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제공합니다.

  • 세대별 가비지 콜렉션(Generational Garbage Collection) - 현재 가장 많이 사용

    - 객체를 세대(예: 젊은 세대, 늙은 세대)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합니다.
    - 대부분의 객체는 생성된 직후 곧바로 가비지가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메모리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킵니다.

    - V8(구글 크롬, Node.js에서 사용)과 SpiderMonkey(파이어폭스에서 사용)는 세대별 가비지 콜렉션을 사용합니다.

    - Edge도 초기에는 Chakra 엔진을 사용했지만, 최신 버전에서는 Google의 V8 엔진 

  • 증분 가비지 콜렉션(Incremental Garbage Collection)

    - GC 작업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시간을 개선합니다.
    - 이 방법은 가비지 콜렉션으로 인한 프로그램의 중단 시간을 줄입니다.

  • 병렬 가비지 콜렉션(Parallel Garbage Collection)

    -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가비지 콜렉션 작업을 병렬로 수행합니다.
    - 이는 가비지 콜렉션의 효율성을 높이고 처리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새롭게 알게된 내용

- javascript 실행 컨텍스트

- 호이스팅 개념

- 가비지 콜렉터

- javascript 일반적인 네이밍 컨벤션

728x90
반응형
반응형
Github Action을 이용해서 CDN S3 업로드 POC 진행중..
너무 오래 걸리는데?? Action log를 살펴보는데..

 

 

 

upload : 오호 예상대로 업로드가 잘됐군
delete : 뭐지..?
delete : 이
delete : 거
delete : 어
delete : 떻
delete : 게
delete : 멈
delete : 추
delete : 지...
 

 

제가 멍청하게 Github 지정된 폴더와 S3 버킷을 동기화하는 코드를 넣어서 S3 객체를 날리고 있었습니다..
평정심을 찾고.. 아니 끝까지 못 찾았습니다..
부랴부랴 버킷에 들어가 봅니다!
 

 

 
버킷 버전 관리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복구가 가능합니다!!
버전 관리가 활성화되어있는 상태에서는 객체를 삭제하면 삭제 마커 버전이 생성되는데요
삭제 마커 버전을 삭제하면 전 버전으로 복구 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aws console을 이용해서 복구 시킬 수도 있지만, 저같이 대량의 파일을 삭제했을 경우에는 코드로 복구 시킬 수 있는데요.
AWS SDK를 사용해서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급한 마음에 AWS CLI를 이용해서 S3 복구를 진행하였습니다.

 

1. AWS CLI를 설치

AWS CLI 이용하려면 CLI 설치를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Homebrew를 이용해서 설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aws cli 설치 : brew install awscli
설치 확인 : aws --version
aws cl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aws configure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aws iam 서비스에서 관련된 권한만 부여된 사용자를 생성해서 설정하는게 보안에 더 좋습니다.
저는 s3 관련 권한만 부여된 사용자를 생성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사용자를 생성하면 AWS Access Key ID와 Secret Access Key가 생성되는데요,
중요한 정보이기에 외부 유출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aws cli 설정 : aws configure
설정값에 key와 각종 정보를 등록하셨다면 이제 aws cli를 이용해서 S3 객체를 복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는 크게 두가지 입니다.
  1. 오늘 날짜로 삭제된 S3 객체 목록 추출
  2. 추출된 리스트를 이용해서 삭제 마커 버전 삭제

 

2. 삭제된 S3 객체 목록 추출

cli를 이용해서 aws api를 호출하면 아래와 같이 삭제 마커가 붙은 객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조회
aws s3api list-object-versions --bucket s3_bucket_name --output text | grep DELETEMARKERS

 

 
aws s3 api를 이용해서 오늘 날짜로 삭제된 객체 목록을 txt 파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s3_deleted_object_list.sh
#!/bin/bash
TODAY=$(date +"%Y-%m-%d")
aws s3api list-object-versions --bucket s3_bucket_name --output text | grep DELETEMARKERS | grep $TODAY > deleted_objects_today.txt

 

3. 추출된 리스트를 이용해서 삭제 마커 버전 삭제

위에서 추출한 목록에서 객체의 key 값과 version_id를 이용해서 해당 버전을 삭제시킬 수 있습니다.
s3_restore.sh
#!/bin/bash


while read -r line; do
key=$(echo $line | awk '{print $3}')
versionId=$(echo $line | awk '{print $5}')
aws s3api delete-object --bucket s3_bucket_name --key "$key" --version-id "$versionId"
done < deleted_objects_today.txt

 

 

 

 

728x90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S 이용한 서비스 배포  (0) 2024.04.28
AWS를 이용한 SSL 적용하기  (0) 2023.01.08
반응형

Wordpress를 세팅할 일이 생겨서 Docker를 이용해서 세팅을 해보았습니다!

 

Docker Compose 여러 컨테이너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의 정의와 실행을 단순화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다중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의 단순화: 개발, 테스팅 및 프로덕션 환경에서 여러 서비스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관리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설정의 일관성: docker-compose.yml 파일을 사용하여 서비스, 네트워크 및 볼륨에 대한 설정을 버전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팀 내에서 일관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개발 환경의 효율성: 개발자는 로컬 머신에서 docker-compose up 명령을 사용하여 모든 서비스와 의존성을 번에 시작할 있습니다.
    • 서비스 간의 연결: Docker Compose 서비스 간의 네트워킹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서비스 이름을 사용하여 다른 서비스에 연결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해야 하는 경우 복잡한 네트워크 구성 없이 간단하게 연결할 있습니다.

Docker Compose 개발, 테스팅 스테이징 환경에서의 사용에 특히 유용하지만, 대규모의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Kubernetes 같은 보다 복잡한 오케스트레이션 도구가 권장되곤 합니다.

 

이제 로컬에 Docer compose를 이용해서 Wordpress를 세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B는 mysql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docker-compose.yml

version: "3.9"
services:
  db:
    image: mysql:5.7
    platform: linux/amd64
    volumes:
      - mysql-vol:/var/lib/mysql
    restart: always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wordpress
      MYSQL_DATABASE: wordpress
      MYSQL_USER: wordpress
      MYSQL_PASSWORD: wordpress

  wordpress:
    depends_on:
      - db
    image: wordpress:latest
    volumes:
      - ./src:/var/www/html
    ports:
      - "8080:80"
    restart: always
    environment:
      WORDPRESS_DB_HOST: db
      WORDPRESS_DB_NAME: wordpress
      WORDPRESS_DB_USER: wordpress
      WORDPRESS_DB_PASSWORD: wordpress
volumes:
  mysql-vol: {}
  wp-vol: {}

 

docker-compose 파일이 있는 위치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켜주면 정말 간단하게 Worpress가 mysql DB와 함께 생성됩니다!

docker-compose up -d

 

Wordpress 관련 소스코드들이 src 아래에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떻게 빈 폴더에 소스코드 생겼는지 말씀드리면

저희가 작성한 docker-compose.yml 파일에 volmes 옵션을 설정해줬습니다.

wordpress는 기본적으로 /var/www/html 아래에 소스코드들이 생성되는데요, 그 생성된 코드들을 제 로컬 경로(src)와 연결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volumes:
      - ./src:/var/www/html

 

 

728x90
반응형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를 이용하여 Spring Quick Start  (0) 2023.08.06
반응형

nest.js

 

PIPE 란?

파이프는 @Injectable () 데코레이터로 주석이 달린 클래스입니다. 파이프는 주로 요청 데이터의 변환유효성 검사, 응답 데이터의 가공 등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 데이터 유효성 검사 : 파이프를 사용하여 들어오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잘못된 데이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데이터 처리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변환 :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SON 형식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거나,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가공 : 파이프를 사용하여 요청 데이터나 응답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하거나, 특정 필드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Built-in pipe 종류

  • ValidationPipe
  • ParseIntPipe
  • ParseFloatPipe
  • ParseBoolPipe
  • ParseArrayPipe
  • ParseUUIDPipe
  • ParseEnumPipe
  • DefaultValuePipe
  • ParseFilePipe

 

PIPE 사용하는 방법

Handler-level Pipes

핸들러 레벨에서 @UsePipes() 데코레이터를 이용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이프는 모든 파라미터에 적용이 됩니다.

아래 "유효성 체크 해보기"에서 조금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UsePipes(ValidationPipe)
    createBoard(@Body() createBoardDto: CreateBoardDto) : Promise<Board> {
        return this.boardsService.createBoard(createBoardDto);
    }

 

Parameter-level Pipes

파라미터 레벨의 파이프 이기에 특정한 파라미터에게만 적용이 되는 파이프 입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id만 파라미터 파이프가 적용이 됩니다.  

@Patch('/:id/status')
    updateBoardStatus(
        @Param('id', ParseIntPipe) id: number,
        @Body('status') status : BoardStatus
    ) {
        return this.boardsService.updateBoardStatus(id, status);
    }

 

Global Pipes

글로벌 파이프로서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파이브 입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들어오는 모든 요청에 적용이 됩니다. 가장 상단 영역인 main.ts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유효성 체크 해보기

먼저 class-validator , class-transformer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모듈을 설치해줍니다.

npm install class-validator class-transformer --save

참고 페이지 여기에서 여러가지 validation 데코레이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create-board.dto.ts

  - board에 title과 description은 빈값이 안오도록 @IsNotEmpty() 데코레이터를 사용해보겠습니다.

import { IsNotEmpty } from "class-validator";

export class CreateBoardDto{
    @IsNotEmpty()
    title:string;

    @IsNotEmpty()
    description:string;
}

 

2. 위와 같이 데코레이터를 추가해줬다면 아래 컨트롤러에 @UsePipes(ValidationPipe) 데코레이터를 넣어주면 적용이 됩니다.

boards.controller.ts

@UsePipes(ValidationPipe)
    createBoard(@Body() createBoardDto: CreateBoardDto) : Promise<Board> {
        return this.boardsService.createBoard(createBoardDto);
    }

 

잘 적용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Custom PIPE 만들기

board-status-validation.pipe.ts

  - custom pipe를 만들기 위해서는 PipeTransform interface를 구현하여야 합니다.

  - transform 함수 안에 구현하고자 하는 비지니스 로직을 구현하면 됩니다.

  - status 상태 값이 PRIVATE, PUBLIC 으로만 수정될 수 있도록 구현하였습니다.

import { ArgumentMetadata, BadRequestException, PipeTransform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export class BoardStatusValidationPipe implements PipeTransform {

    readonly StatusOptions = [
        BoardStatus.PRIVATE,
        BoardStatus.PUBLIC
    ]

    transform(value: any, metadata: ArgumentMetadata) {

        if(!this.isStatusValid(value)) {
            throw new BadRequestException(`${value} isn't in the status options`); 
        }


        return value;
    }

    private isStatusValid(status : any) {
        const index = this.StatusOptions.indexOf(status);
        return index !== -1
    }
}

 

boards.controller.ts

@Patch('/:id/status')
    updateBoardStatus(
        @Param('id', ParseIntPipe) id: number,
        @Body('status', BoardStatusValidationPipe) status : BoardStatus
    ) {
        return this.boardsService.updateBoardStatus(id, status);
    }

 

참고 

- https://docs.nestjs.com/first-steps

- 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728x90
반응형

'Nes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js] TypeORM 이용한 CRUD  (0) 2023.08.22
[Nest.js] 기본 파일 구조 및 요청 흐름  (2) 2023.08.20
[Nest.js] Quick Start!  (0) 2023.08.15
반응형

nest.js

 

이번 시간에는 TypeORM 모듈을 이용해서 DB을 연결해서 간단한 게시판(Board 모듈) CRUD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사항 : mysql DB

간단하게 docker를 이용해서 local에서 mysql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docker-compose.yml

version: '3.1'

services:
  db:
    image: mysql
    restart: always
    command: --lower_case_table_names=1 # 대소문자 구분
    container_name: mysql-db
    environment:
      - MYSQL_DATABASE=test
      - MYSQL_ROOT_PASSWORD=1234
      - TZ=Asia/Seoul
    command:
      - --character-set-server=utf8mb4
      -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volumes:
      - ./db:/var/lib/mysql # db 볼륨 처리
    ports:
      - 3306:3306

      # docker-compose up -d

 

1. TypeORM 모듈 install

  - 저는 mysql db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 mysql과 typeorm 모듈을 설치합니다.

npm install mysql2 typeorm @nestjs/typeorm

 

2. TypeORM config 설정

config.typeorm.ts

import { TypeOrmModuleOptions } from "@nestjs/typeorm";

export const typeORMConfig : TypeOrmModuleOptions = {
    type: 'mysql',
    host: 'localhost',
    port: 3306,
    username: 'root',
    password: '1234',
    database: 'test',
    entities: [__dirname+ '/../**/*.entity.{js,ts}'],
    synchronize:true
}

 

app.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typeORMConfig } from './configs/config.typeorm';

@Module({
  imports: [
    TypeOrmModule.forRoot(typeORMConfig)
  ],
})
export class AppModule {}

 

3. board 모듈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board 모듈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board 모듈 구조

board.entity.ts

  - DB 테이블이 되는 Entity 객체

import { BaseEntity, Column, Entity,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Entity()
export class Board extends Base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
    id:number;

    @Column()
    title:string;

    @Column()
    description:string;

    @Column()
    status:BoardStatus;
}

 

board.repository.ts

import {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export class BoardRepository extends Repository<Board> {
}

 

boards.controller.ts

import { Body, Controller, Delete, Get, Param, ParseIntPipe, Patch, Post, UsePipes, ValidationPipe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sService } from './boards.service';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import { CreateBoardDto } from './dto/create-board.dto';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Controller('boards')
export class BoardsController {
    constructor( private boardsService : BoardsService) {} 
    // nest에서는 boardsService 인스턴스를 프로퍼티라고 부르는 것 같다

    @Get('/:id')
    getBoardById(@Param('id') id:number) : Promise<Board> {
        return this.boardsService.getBoardById(id);
    }

    @Post()
    @UsePipes(ValidationPipe)
    createBoard(@Body() createBoardDto: CreateBoardDto) : Promise<Board> {
        return this.boardsService.createBoard(createBoardDto);
    }

    @Patch('/:id/status')
    updateBoardStatus(
        @Param('id', ParseIntPipe) id: number,
        @Body('status') status : BoardStatus
    ) {
        return this.boardsService.updateBoardStatus(id, status);
    }

    @Delete('/:id')
    deleteBoard(@Param('id', ParseIntPipe) id: number) {
        return this.boardsService.deleteBoard(id);
    }

}

  - validationPip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npm install이 필요합니다.

설치하게되면 기본적인 validation 체크를 위한 데코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pm install class-validator class-transformer --save

 

boards.service.ts

import { Injectable, NotFoundException } from '@nestjs/common';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CreateBoardDto } from './dto/create-board.dto';

@Injectable() // nest js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export class BoardsService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Board)
        private boardRepository : Repository<Board>,
    ){}

    async getBoardById(id: number): Promise <Board> {
        const found = await this.boardRepository.findOneBy({id});
        if(!found) {
            throw new NotFoundException(`Can't find Board with id ${id}`);
        }
        return found;
    }

    async createBoard(createBoardDto : CreateBoardDto) : Promise<Board> {
        const {title, description} = createBoardDto;

        const board = this.boardRepository.create({
            title,
            description,
            status: BoardStatus.PUBLIC
        })

        await this.boardRepository.save(board);
        return board;
    }

    async updateBoardStatus(id:number, status: BoardStatus) : Promise<Board> {
        const board = await this.getBoardById(id);
        
            board.status = status;
            await this.boardRepository.save(board);

            return board;
    }

    async deleteBoard(id:number) : Promise<void> {
        const result = await this.boardRepository.delete(id);

        if(result.affected === 0 ) {
            throw new NotFoundException(`Can't find Board with id ${id}`);
        }
    }

}

 

create-board.dto.ts

  - dto class

import { IsNotEmpty } from "class-validator";

export class CreateBoardDto{
    @IsNotEmpty()
    title:string;

    @IsNotEmpty()
    description:string;
}

 

board-status.enum.ts

  - BoardStatus를 상수로 쓰기 위한 enum

// 게시판 모델 정의
// interface : 변수의 타입만의 체크한다.
// classes   : 변수의 타입도 체크하고 인스턴스 생성할 수 있다.

// export interface Board {

//     id: string;
//     title: string;
//     description: string;
//     status: BoardStatus

// }

export enum BoardStatus {
    PUBLIC = 'PUBLIC',
    PRIVATE = 'PRIVATE'
}

 

boards.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BoardsController } from './boards.controller';
import { BoardsService } from './boards.service';

@Module({
    imports: [
        TypeOrmModule.forFeature([Board])
    ],
    controllers: [BoardsController],
    providers: [BoardsService]
})
export class BoardsModule {}

 

app.module.ts

  - imports에 BoardsModule을 추가합니다.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sModule } from './boards/boards.module';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typeORMConfig } from './configs/config.typeorm';

@Module({
  imports: [
    TypeOrmModule.forRoot(typeORMConfig),
    BoardsModule
  ],
})
export class AppModule {}

 

참조

- 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728x90
반응형

'Nes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js] PIPE  (0) 2023.08.27
[Nest.js] 기본 파일 구조 및 요청 흐름  (2) 2023.08.20
[Nest.js] Quick Start!  (0) 2023.08.15
반응형

nest.js

 

지난 시간에 nest.js 셋업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nest.js client로 프로젝트를 생성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파일client 요청에 따른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파일

 

 

1.eslintrc.js : 개발자들이 특정한 규칙을 가지고 코드를 깔끔하게 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타입스크립트를 쓰는 가이드 라인 제시, 문법에 오류가 나면 알려주는 역할 등

2. prettierrc : 주로 코드 형식을 맞추는데 사용합니다. 작은 따옴표를 사용할지 큰 따옴표를 사용할지 Indent 값을 두줄로 줄지 네줄로 줄지등등 에러 찾는 것이 아닌 코드 포멧터 역할

3. nest-cli.json : nest 프로젝트를 위한 특정한 설정을 할 수 있는 json 파일

4. tsconfig.json : 어떻게 타입스크립트를 컴파일 할지 설정

5. tsconfig.build.json : tsconfig.json의 연장선상 파일이며, build를 할 때 필요한 설정등 "excludes"에서는 빌드할 때 필요 없는 파일들 명시

6. package.json : build : 운영환경을 위한 빌드, format: 린트에러가 났을지 수정, start : 앱 시작 

7. src : 대부분의 비지니스 로직이 들어가는 곳

 

 

2. client 요청에 따른 흐름

client(브라우저)에서 localhost:3000번으로 요청을 보내면

nest.js 애플리케이션에서는 app.module 요청에 대한 진입점 역할을 하는데 요청을 구분해서 등록되어 있는 controller에 요청을 전달합니다.

controller로 요청을 보내고, service에서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리턴 받아서 client에서 응답하는 흐름입니다.

 

1. app.module.ts

  - controllers에 AppController가 providers에 AppService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 module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Module({
  imports: [],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2. app.controller.ts

  - @Get 데코레이터를 보시면 "/" 요청이 오면 getHello() 함수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import { Controller, Get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Controller()
export class App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appService: AppService) {}

  @Get()
  getHello(): string {
    return this.appService.getHello();
  }
}

 

3. app.service.ts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njectable()
export class AppService {
  getHello(): string {
    return 'Hello World!';
  }
}

 

모듈이란

모듈은 @Module() 데코레이터로 주석이 달린 클래스입니다. @Module() 데코레이터는 Nest가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각 응용 프로그램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있습니다. 루트 모듈(AppModule)은 Nest가 사용하는 시작점입니다.

모듈은 밀접하게 관련있는 기능 집합으로 구성 요소를 구성한느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모듈은 기본적으로 싱글 톤이므로 여러 모듈간의 쉽게 공급자의 동일한 인스턴스를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참조 

- 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728x90
반응형

'Nes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js] PIPE  (0) 2023.08.27
[Nest.js] TypeORM 이용한 CRUD  (0) 2023.08.22
[Nest.js] Quick Start!  (0) 2023.08.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