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핵심 정리

11장 윈시 값과 객체의 비교

자바스크립트가 제공하는 7가지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object/ referecve type)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릅니다.

  •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입니다. 이에 비해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입니다.
  •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됩니다. 이에 비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됩니다.
  •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이를 값에 의한 전달이라고 합니다.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이를 참조의 의한 전달이라고 합니다.

원시 값

변경 불가능한 값(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진술입니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에 값을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변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한다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한 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합니다. 값의 이러한 특성을 불변성이라고 합니다.

불변성을 갖는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이외에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문자열과 불변성

자바스크립트는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다른 언어와 다르게 원시 타입인 문자열 타입을 제공합니다. 이는 자바스크립트 장점 중 하나입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은 원시 타입이며, 변경 불가능합니다. 이것은 문자열이 생성된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문자열의 한 문자를 변경할 경우, 문자열은 유사 배열 객체이면서 이터러블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var str = "string";

// 문자열은 유사 배열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인덱스를 사용해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console.log(str[0]); // s

// 원시 값인 문자열이 객체처럼 동작합니다.
console.log(str.length); // 6
console.log(str.toUpperCase()); // STRING


// 일부 문자를 변경해도 반영되지 않습니다.
// 문자열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str[0] = 'S';

console.log(str); // string

 

값에 의한 전달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80
console.log(copy); // 80

변수에 변수를 할당했을 때 무엇이 어떻게 전달되는 가? copy = score에서 score는 변수 값 80으로 평가되므로 copy 변수에도 80이 할당될 것입니다. 이때 새로운 숫자 값 80이 생성되어 copy 변수에 할당됩니다.

이때 score 변수와 copy 변수는 숫자 값 80을 갖는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 80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입니다.

"값에 의한 전달"이라는 용어는 엄격하게 표현하면 변수에는 값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가 전달되기 때문에 오해가 있을 수도 있다. 이는 변수와 같은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값의 의한 전달"도 사실은 값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전달합니다. 단, 전달된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값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결국 두 변수의 원시 값은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 되어 어느 한쪽에서 재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하더라도 서로 간섭할 수 없습니다.

 

객체

객체는 프로퍼티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퍼티의 값에도 제약이 없습니다.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며 참조 값에 접근 할 수 있습니다.

원시 값과는 다르게 여러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관리 방식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해시 테이블과 유사하지만 높은 성능을 위해 일반적이 해시 테이블보다 나은 방법으로 객체를 구현합니다.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사전에 정의된 클래스를 기반으로 객체를 생성하기 때문에 그대로 객체를 생성합니다. 그에 반해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으로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추가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지만 성능 면에서는 이론적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객체보다 생성과 프로퍼티 접근에 비용이 더 많이 드는 비효율적인 방식입니다. 따라서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는 프로퍼티에 접근하기 위해 오적 탐색 대신 히든 클래스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을 보장합니다.

 

참조의 의한 전달

"값에 의한 전달"과 "참조에 의한 전달"은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면에서 동일합니다.

다만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 즉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원시 값이냐 참조 값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에는 "참조의 의한 전달"은 존재하지 않고 "값에 의한 전달"만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완벽 공략

V8 엔진의 히든 클래스(Hidden Class)

  • 객체 초기화: 객체가 생성될 때, V8은 그 객체에 대한 히든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처음에는 모든 객체가 같은 히든 클래스를 가집니다.
  • 속성 추가/변경: 객체에 속성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마다, V8은 새로운 히든 클래스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히든 클래스를 업데이트합니다. 이 과정에서, 객체는 해당 히든 클래스에 대한 포인터를 가지고 있게 됩니다.
  • 속성 접근 최적화: 객체의 속성에 접근할 때, V8은 히든 클래스를 사용하여 해당 속성의 위치를 빠르게 찾습니다. 히든 클래스는 속성의 위치와 타입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엔진이 객체의 메모리 레이아웃을 더 잘 예측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프로토타입 체인: JavaScript에서 객체는 프로토타입을 통해 상속을 구현합니다. 히든 클래스는 프로토타입 체인을 통해 상속된 속성에 대해서도 최적화를 제공합니다.

JIT

"Just-In-Time" 컴파일의 약자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실행 방식 중 하나를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필요한 부분의 코드를 동적으로 컴파일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실행 시간에 최적화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하고,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전통적인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사이의 중간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컴파일 언어(예: C, C++)에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전체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지만, 인터프리터 언어(예: Python, JavaScript)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코드를 한 줄씩 읽고 실행합니다.

JIT 컴파일러는 인터프리터 언어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컴파일 언어의 성능 이점을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로 생성된 객체는 원본과는 다른 객체다. 즉, 원본과 복사본은 참조 값이 다른 별개의 객체다.

하지만 얕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의 경우 참조 값을 복사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 있는 객체까지 모두 복사해서 원시 값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든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