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 분리 패턴들
목차
1. 관심사 분리
2.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3. Cross Cutting Concerns (횡단 관심 분리)
1. 관심사 분리
constrction(생성)과 use(사용)은 아주 다르다.
- 소프트웨어 시스템은(어플리케이션 객체를 제작하고 의존성을 서로 '연결'하는) 준비 과정과 (준비 과정 이후에 이어지는) 런타임 로직을 분리해야 한다.
- 객체의 생성과 객체를 사용하는 부분을 분리한다.
시작에 대한 관심사 분리
객체의 생성은 시작 단계에서, 비즈니스 로직은 객체를 사용하는데 집중한다.
- 시작 단계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풀어야할 관심사이다.
- main 함수에서 시스템에 필요한 객체를 생성한 후 어플리케이션에 넘긴다.
- 어플리케이션은 그저 만들어진 객체를 사용한다.
- 모든 객체가 잘 생성되었다고 가정하고, 객체를 이용한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관심사 분리
Spring 프레임워크를 통해 요청에 대한 관심사를 분리해 요청 처리에 대한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 (Filter, Intercepter, AOP)
- 서블릿 필터는 DispatcherSevlet 이전에 실행이 되는데 요청 내용을 변경하거나,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Filter와 Interceptor는 Servlet 단위에서 실행된다. 반면 AOP는 메소드 앞에서 Proxy Pattern으로 실행된다.
- 인터셉터는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있고 로그인 처리, 권한체크, 프로그램 실행시간 계산작업, 로그확인 등의 업무처리에 활용된다.
- AOP는 메서드 앞에서 Proxy Pattern으로 실행된다. 주로 '로깅', '트랜잭션', '에러처리' 등 비즈니스 단위 메서드에서 조금 더 세밀하게 조정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AOP는 주소, 파라미터, 애노테이션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
2.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객체 의존성을 DI 컨테이너에 맡긴다. - Setter 메소드 or 생성자 인수를 통해 의존성 주입한다. - DI 컨테이너는 요청이 들어올 때 필요한 객체의 인스턴스를 만든 후 의존성 설정한다. ex) Spring IoC Container
3. Cross Cutting Concerns (횡단 관심 분리)
어플리케이션 전반에서 가지는 공통적인 관심사를 분리한다.
- 비즈니스 로직 외에 Logging, Transaction 관리, Security 등 신경써야 할 관심사들이 많다.
- 관심사들은 많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 퍼져있는데, 이 관심사들을 분리해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Book > Clean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ean Code] Chapter 13 (0) | 2022.03.31 |
---|---|
[Clean Code] Chapter 12 (0) | 2022.03.28 |
[Clean Code] Chapter 10 (0) | 2022.03.26 |
[Clean Code] Chapter 09 (0) | 2022.03.21 |
[Clean Code] Chapter 08 (0) | 2022.03.20 |